백설공주는 전 세계적으로 사랑받는 동화 중 하나다. 많은 사람들이 이 이야기를 ‘악독한 계모’와 ‘착한 공주’의 이야기로 기억하지만, 사실 원작에서는 백설공주를 죽이려 한 인물이 계모가 아니라 친어머니라는 충격적인 설정이 등장한다. 이번 글에서는 우리가 알고 있던 백설공주의 이야기와 원작 속 숨겨진 진실, 그리고 이 이야기가 담고 있는 심리적, 문화적 의미까지 깊이 탐구해보겠다.
우리가 알고 있는 백설공주 이야기
디즈니 애니메이션 속 백설공주
1937년, 월트 디즈니는 세계 최초의 장편 애니메이션인 백설공주와 일곱 난쟁이를 제작했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의 줄거리는 대략 다음과 같다.
아름다운 공주 백설공주는 계모인 사악한 여왕의 질투를 받는다.
여왕은 마법의 거울을 통해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사람이 백설공주임을 확인한 후, 그녀를 죽이려 한다.
사냥꾼을 시켜 백설공주를 숲으로 데려가 죽이라고 하지만, 사냥꾼은 그녀를 불쌍히 여겨 살려준다.
백설공주는 숲속에서 일곱 난쟁이들과 함께 살게 된다.
여왕은 독이 든 사과를 이용해 백설공주를 죽이려 하지만, 결국 왕자의 키스로 그녀는 되살아난다.
왕자와 백설공주는 행복하게 결혼하고, 계모는 처벌받는다.
이처럼 디즈니는 ‘악한 계모 vs. 착한 공주’라는 선명한 대비를 통해 선과 악을 구분 짓는 구조를 만들었다. 하지만 원작을 살펴보면 이야기는 훨씬 더 복잡하고 어두운 내용을 담고 있다.
그림 형제의 원작 이야기
디즈니 애니메이션이 탄생하기 전, 1812년 그림 형제가 발표한 백설공주는 지금과는 다른 몇 가지 차이점을 가지고 있었다.
백설공주를 죽이려 한 인물은 계모가 아니라 친어머니였다.
독이 든 사과 외에도 여러 번의 살해 시도가 있었다.
왕자의 키스가 아닌, 우연한 사고로 백설공주가 깨어났다.
악당인 왕비는 끔찍한 최후를 맞이한다.
이제, 원작 속에서 친어머니가 어떻게 백설공주를 죽이려 했는지 자세히 알아보자.
친어머니가 백설공주를 죽이려 한 이유
질투라는 강렬한 감정
원작에서 백설공주의 어머니는 딸이 태어나자마자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존재가 되길 바랐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백설공주가 성장하고 그녀의 미모가 더욱 빛을 발하자, 어머니는 심한 질투를 느끼기 시작했다.
이 질투는 단순한 경쟁심이 아니라, 자신의 아름다움을 유지하고 싶은 욕망과 늙어가는 것에 대한 두려움에서 비롯된 것이다. 중세 유럽에서는 여성의 아름다움이 곧 권력과 사회적 위치를 의미했기 때문에, 백설공주의 어머니는 자신의 미모를 위협하는 딸을 제거하려 한 것이다.
첫 번째 살해 시도 – 사냥꾼에게 딸을 죽이라고 명령하다
백설공주의 친어머니는 왕에게도 알리지 않은 채, 몰래 사냥꾼을 불러 딸을 숲속으로 데려가 죽이라고 명령한다. 그리고 그녀가 정말로 죽었다는 증거로 백설공주의 심장을 가져오라고 한다.
사냥꾼은 처음에는 명령을 따르려 했지만, 결국 백설공주를 불쌍히 여겨 살려주고, 대신 멧돼지의 심장을 왕비에게 가져간다. 원작에서는 왕비가 이 심장을 소금에 절여 먹는 장면이 등장하는데, 이는 그녀의 잔혹성을 더욱 강조하는 요소다.
두 번째 살해 시도 – 마법을 이용한 공격
백설공주가 일곱 난쟁이들과 함께 살고 있다는 사실을 알게 된 어머니는 직접 변장을 하고 난쟁이들이 없는 틈을 타 백설공주를 찾아간다.
조이는 끈을 이용한 살해 시도: 왕비는 행상인으로 변장해 백설공주에게 아름다운 끈을 선물한다. 백설공주가 이 끈으로 허리를 조이자 숨을 쉬지 못하고 쓰러진다. 하지만 난쟁이들이 돌아와 끈을 풀어주면서 살아난다.
독이 묻은 빗: 왕비는 두 번째로 백설공주를 찾아가 아름다운 빗을 선물한다. 하지만 이 빗에는 독이 묻어 있었고, 백설공주가 빗을 꽂자 즉시 쓰러진다. 난쟁이들이 빗을 빼내어 간신히 그녀를 살려낸다.
독이 든 사과: 마지막으로 왕비는 독이 든 사과를 이용해 백설공주를 완전히 죽이려 한다.
이처럼 백설공주는 세 번의 살해 위기를 맞이하지만, 난쟁이들의 도움으로 간신히 살아남는다. 결국 마지막 독이 든 사과를 먹고 깊은 잠에 빠진다.
백설공주는 어떻게 깨어났을까?
왕자의 키스는 원작에 없었다
디즈니 애니메이션에서는 왕자가 백설공주에게 키스를 하자 그녀가 깨어나지만, 원작에서는 전혀 다른 방식으로 깨어난다. 왕자는 죽은 백설공주의 관을 난쟁이들에게서 받아 가는 도중, 하인들이 관을 옮기다가 실수로 떨어뜨린다.
이때 백설공주의 목에서 독이 든 사과 조각이 튀어나오면서 깨어나는 것이다.
이 부분이 원작이 디즈니 버전과 크게 다른 점 중 하나다.
백설공주의 진짜 교훈 – 여성 간의 경쟁과 욕망
왜 친어머니가 악당이었을까?
원작에서 백설공주를 죽이려 한 사람이 계모가 아니라 친어머니였다는 점은 여성 간의 경쟁이라는 측면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진다.
중세 유럽에서 여성의 아름다움은 생존과 직결되는 요소였다.
나이가 들면서 권력을 잃어가는 여성의 불안감이 반영되었다.
딸이 자신의 아름다움을 위협하는 존재가 되자, 극단적인 선택을 하게 된 것이다.
현대적 해석 – 백설공주는 단순한 동화가 아니다
이 이야기는 단순한 선과 악의 대결이 아니라, 사회에서 여성에게 부여된 역할과 압박을 반영한 이야기일 수도 있다. 미의 기준과 젊음에 대한 집착이 여성들 간의 갈등을 조장하는 경우가 많은데, 백설공주의 이야기는 이를 극단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결국, 백설공주는 단순한 동화가 아니라, 인간의 깊은 심리와 사회적 구조를 반영한 상징적인 이야기로 해석할 수 있다.